1. 직접식 교수법이란?
어린아이가 모국어를 습득하는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문자보다 듣기와 말하기로 학습을 접근하는 방법이다.
목표어만 사용하여, 언어에 대한 학습을 익히는 교수법이다.
학습수단으로 그림, 사물, 도표, 놀이 등이 있다.
2. 직접식 교수법의 등장.
문법번역식 교수법의 문제 제기로 19세기 중반기에 유럽을 중심으로 외국어로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등장하였다.
Maecel(프랑스)는 어린이 언어 학습에서 의미정달과 읽기를 강조하여 교육 이론의 틀 안에 언어 교수를 설정하였다.
Prendergast(영국)은 어린이가 말을 배울 때, 외워서 말하고 상투적인 어구를 그대로 따라 말한다는 사실에 착안해 기본적인 문장 학습을 하는 '구조적 요수요목'을 제시하였다.
Guuin(프랑스) 는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언어를 배우는 것을 보고, 어린이들이 자신을 생각을 표현하기위해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을 착안해 시리즈 교수법을 고안했다.
예를 들어서,
I draw near. / I draw near to the door.
I open. / I open the door.
I pull. / I pull the door.
3. 직접식 교수법의 발달
Ventor는 말의 유형을 강조하면서, 교사가 과학적 음성학을 배워야한다고 주장했다.
Passy는 국제음성학회 창시자 중 한명이다. 교수방법 개선을 위해 구와, 발음, 언어의 의미를 목표어로 연상하게 하여 가르치는 방법을 고안했다.
Berlitz는 벌리츠 어학교를 만들었다. 교사가 번역없이 몸짓, 표정, 억약을 사용하여 수업하는 것이 학습자들은 유창하게 언어를 배우는 것을 보고, 직접 벌리츠 교수법을 만들었다.
Richards & Rodger는 19세기 후반에 언어교수와 교사교육에 음성학을 적용하고, 문장 속에서 단어는 문맥 속에 의미와 분리하여 수업하면 안된다는 원칙을 세웠다.
4. 직접식 교수법의 쇠퇴
직접식 교수법은 20세기 초 언어교육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며 전성기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원어민 교사가 상주해 있는 비싼 사립학교에서만 효과가 있을 뿐, 일정 수준의 교사가 없는 공립학교에서는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5. 직접식 교수법의 의의
6. 직접식 교수법의 특징
일상 언어 학습이 목표이므로 듣기와 말하기 위주의 학습이다.
발음, 문법의 잘못은 바로 수정한다.
귀납적으로 문법을 배우며, 일상생활의 회화 위주로 수업한다.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진도를 뺀다.
7. 직접식 교수법의 장점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의 상호작용이 있다.
의미전달을 도구로 통해 시각화해 기적에 오래 남는다.
8. 직접식 교수법의 단점
학습자의 수가 많으면 효율적인 수업이 어렵다.
일정 수준이상의 교사가 많이 않다.
교사의 수업 부담이 크다.
추상적 개념은 다루기 어렵다.
말하기와 듣기 위주로 읽기, 쓰기가 부족하다.
즉각적인 오류 수정을 해야하므로,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흐름이 깨진다.
문법은 체계적으로 제시되지 않는다.
목표어로만 수업하니 수업에 흥미를 읽기 쉽다.
교사서를 학습자들에게 제시 → 목표언어로 어려운 표현을 설명 → 교사의 질문 → 학습자들의 교과서 읽기 →
교과서에 대한 질문과 대답하기→ 연습문제 출기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단어 쉽게 외우는 법 (0) | 2023.04.20 |
---|---|
초등학교 한국어 교사 면접 및 시강 후기 (0) | 2022.12.27 |
한국어교사 면접 후기 예상 질문 목록 (0) | 2022.12.13 |
금수회의록 동물들의 사회 비판 이야기 (0) | 2022.12.01 |
춘향전 춘향은 기생인가 (0) | 2022.11.30 |